반응형 웹디자인 기능사/프로토타입 제작 및 사용성 테스트9 태스크 플로우 작성하기 태스크 플로우 작성하기 웹사이트의 특정 영역을 대표하는 페이지들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회사 조직도처럼 생겼으며 사이트의 수직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사용자들이 웹사이트를 항해하는 중 취하는 경로나 과정을 보여준다. 사용자의 옵션이나 경로를 상세히 보여주기 위해 제작된다. 시나리오 기반의 태스크 분석 정의 사용자의 니즈와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우리 서비스를 이용하여 어떤 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것인가 정해야 하는데 이를 태스크(과업)이라고 한다. 이 태스크(과업)을 누가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수행하는가를 그리는 과정이 시나리오 작업이다. 태스크(과업) 분석은 이 서비스를 통하여 앞에서 정의한 페르소나가 무엇을 할 수 있 을지, 사용자들에게 어떤 기능들을 제공할 것인지에 대하여 사용자의 .. 2019. 11. 28. 페이퍼 프로토타입 제작 2019. 11. 22. 와이어 프레임 와이어프레임 비주얼 디자인이 시작되기 전에 흑백으로 제작되어 UX/UI 디자인의 방향을 잡는 역할을 하 며 페이지나 화면에 보여지는 요소들을 정하기 위해 그려지는 일종의 ‘프로토타입’이라고 할 수 있다. 피드백과 함께 이루어지는 작업이기 때문에 한번에 완성도를 높이기보다 반복적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염두 해 두고 작성해야 한다 정의 대략적인 스크린 디자인을 일컫는 것으로, 각 페이지와 기능 간의 관계와 구조를 제안하 고 시각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프레임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기본 안내서로 사 용한다. 즉, 와이어프레임은 인터페이스의 기본 요소를 담은 레이아웃을 그림 등으로 표현 한 것으로, 기획서나 스토리보드 등의 UI 디자인을 의미한다. 가벼운 스케치와 인터랙티브 프로토타입 사이에 위치한다고 본.. 2019. 11. 21. 친화도법(Affinity Diagramming) 친화도법(Affinity Diagramming) 친화도법은 이러한 결과물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시각화 하여 이후 데이터에 기반을 둔 UI/UX 관련 업무를 가능하게 하는 해법이 되어 주는 기법이다. 친화도법은 사용자리서치의 결과로 얻어진 정량적 데이터를 작은 덩어리로 만들고 그 덩 어리들을 특정 주제나 문제와 관련된 분류와 해당 분류의 하위분류로 구분하는 귀납적 방 법이다. 이러한 분류는 사용자리서치 및 UI/UX와 관련한 업무를 수행하는 관계자들이 한 장소에 모여서 사용자리서치의 결과 데이터를 세분한 덩어리의 내용의 특성을 문장으로 적은 카 드(점착식 메모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를 주제, 문제에 따라 분류하는 워크숍 형 태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품/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사용자리서.. 2019. 11. 1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