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웹디자인 기능사/UI 디자인8

운영체제(OS) 플랫폼 기반 내비게이션 설계 운영체제(OS) 플랫폼 기반 내비게이션 설계 모바일 UI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고려한 내비게이션의 설계 모바일 사용자 경험 가이드라인 일반적으로 모바일 앱 사용자들은 작은 스크린에 대한 불편함과 이로 인해 생기는 입력의 문제, 화면 정보 인지의 어려움 등을 경험하게 된다. 앞서 학습을 통해 알아보았듯이 운 영체제가 다른 모바일 화면의 UI 구조 차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성의 차이로 느끼게 된다. 이러한 앱의 구조 차이는 서로 다른 사용자 경험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iOS와 안드로이드 앱 모두 거의 같은 UI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중립적인 형태의 앱이 나 하이브리드 앱을 선택하는 추세이다. 제이콥 닐슨은 서로 다른 모바일 사용자 환경 차 이를 고려하여 사용자 경험 디자인 시 고려해야 할 사항.. 2020. 1. 28.
운영체제(OS) 플랫폼 별 UI 패턴 파악 운영체제(OS) 플랫폼 별 UI 패턴 파악 운영체제(OS)별 UI 요소와 기능 이해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모바일 앱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화면의 레이아웃 구성은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어떤 기능을 선택하고 결정하게 하는 중요한 부분 이다.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탭, 메뉴, 툴 바, 액션 바, 각종 버튼 등의 UI 구성 요소를 통 해 앱을 경험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작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대 표적인 운영체제(OS)별 UI 요소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디자인을 진행하여야 한다. iOS UI 필수 요소와 기능 iOS UI 요소는 크게 상태 바, 내비게이션 바, 툴 바, 탭 바, 스코프 바 등과 같은 바 (bars) 종류와 콘텐츠 뷰, 테이블 뷰, 임시 뷰 등.. 2020. 1. 28.
내비게이션과 레이블링 정의 내비게이션과 레이블링 정의 기능 정의 및 메뉴 구조 작성 기능 정의 UI 시나리오 기반의 태스크 분석 결과로부터 사용자에게 필요한 인터페이스의 정보 및 콘 텐츠, 기능, 절차 등을 도출한다. 기능 구조는 사용자가 수행하는 태스크를 지원하기 위해 앱에서 제공해야 하는 인터페이스 구조이다. 앱의 기능은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메뉴, 또는 콘텐츠이며 기능에 따른 세부 기능 요소를 필요로 한다. 다음의 문화콘텐츠 앱의 기 능 정의 작성 사례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주요 기능인 문화 콘텐츠 분야를 장르별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앱에 진입 시 초기 화면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사 례이다. 첫 번째, 사용자는 초기 화면에서 영화 메뉴로 탭을 하여 진입할 수 있으며 베스 트셀러, 신작, 무료 서비스, .. 2020. 1. 28.
워크플로우 작성법 파악 워크플로우 작성법 파악 워크플로우(workflow) 작성 워크플로우 작성의 목적 워크플로우는 사용자들이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취하는 경로나 과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 램이며,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전체적인 이용 흐름을 보여주기 위해 작성된다. 그리고 특정 결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지점과 함께 제시되어야할 메뉴와 정보도 포함된다. 워크플로우의 활용 워크플로우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의 목표를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워크플 로우를 작성 전, 사용자 요구사항 정의서나 유스케이스를 필요로 한다. 워크플로우는 다음 과 같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앱의 기능이나 작업들이 어떻게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와이어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지를 검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용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이동 경로 및 과정을 예측할 수.. 2020. 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