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견고성
마크업 오류 방지
웹 페이지의 기본이 되는 HTML이나 XHTML과 같은 마크업 언어에서 정한 문법에 맞지 않게 구현한 경우 발생되는 것으로 W3C에서 제공되는 유효성 검사기를 통해 적합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화면 출력에 이상이 생기거나 기능동작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문법을 준수하여 오류가 없도록 개선해야 한다.
- 마크업 언어의 문법 오류를 방지 함으로서 브라우저 뿐만아니라 다양한 보조기기등에서콘텐츠를 문제없이 해석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게 한다.
- 앞으로 어떤 기술이 새롭게 생겨날지 모르는 상황에서 견고성을 목적으로 한다.
- 마크업언어의 요소는 열고닫음, 중첩관계 및 속성 선언에 오류가 없어야 한다.
제공 방법
- 태그의 열고 닫음의 오류가 없어야 한다. - 하위 요소에까지 영향을 준다.
- 태그의 계층의 순서에 맞춰 중첩 오류가 없어야 한다. - 요소나 속성이 반영되지 않는다.
- 중복선언 된 속성이 없어야 한다. - 표현이나 동작에 대한 목표점이 어디인지 해석하지 못한다.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웹 콘텐츠에 포함되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웹 콘텐츠내의 응요프로그램이나 자바스크립트로 구현된 프로그램등은 자체적으로 접근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준수는 웹 콘텐츠에 포함된 부가적인 애플리케이션이나 기능들을 실행하는데 있어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접근성 API를 사용하여 제작되도록 하고 이를 활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영역에도 접근성을 제공하여 모든 형태의 콘텐츠에서 차별없이 이용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 -플러그인(플래시, 플렉스, 실버라이트, 자바 애플릿), RIA기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런 다양한 기술에 대한 자체적인 접근성 구현 방법은 웹 접근성 연구소에서 제공하고 있다. 이를 활용하여 접근성을 구현하는 것이 가장 최선의 방법이다. 원본파일이 없는등 자체적인 접근성 구현이 어려운 경우 대체수단을 제공하여 줌으로써 우회할 수있는 경로를 제공해 줄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