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해의 용이성2
콘텐츠 선형구조
- 웹 문서를 제작할 때 뼈대가 되는 HTML 마크업 언어로, 먼저 논리적인 순서에 맞게 개발해야 하고, 여기에 css를 적용한다.
- CSS 가 제거된 상태에서 콘텐츠가 상식적인 순서로 제공되었는지에 대한 개념.
- 콘텐츠 선형구조 초점의 이동순서 -가상 커서 방식 : 좌-->우, 우-->아래 순으로 논리적인 순서로 이동 되어야 한다.
제공 방법
- 계층 구조가 명백하게 필요한 콘텐츠에서는 ul과 li, ol과 li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마크업하여 제공한다.
- h1~h6 요소를 이용하여 제목을 제공하는 것이 명확한 방법이다.
- 로그인 회원가입 방법,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에 정보를 제공할 것. - 메세지를 먼저 읽게 하기 위해 마크업 순서 상 로그인 폼보다 먼저 제공하더라도 웹 화면에서는 CSS를 활용하여 로그인 폼 아래 위치시켜야 한다.
표의 구성
- 데이터간의 상관관계를 요약하여 제공하는 정보로서 행과 열이 얽힌 표에 담긴 정보를 음성으로 듣고 이해할 수있도록 제목셀과 내용셀로 구분하여 서로 짝지어 읽을 수 있도록 한다.
- 제목과 요약을 제공하여 표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테이블
- 제목셀과 내용셀로 구분하고, 표의 제목과 요약을 제공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한다.
- 본래 데이터의 상관관계
- 표의 형식을 제거하고 남아있는 데이터를 나열했을 때 이해를 할 수 없다.
레이아웃용 테이블
- 제목셀,제목 요약등을 제공하지 않는다.
- 디자인적인 배치를 위해 사용
- 표의 형식을 제거하고 남아있는 데이터를 나열했을 때 이해를 할 수 있다.
제공 방법
- 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 경우 준수한것으로 인정한다.
- 원칙적으로 caption요소, summary속성을 모두 사용해야 하며, 이중 하나이상 적절히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한다.
- caption요소는 표의 제목을 summary속성에는 표의 요약, 구조나 탬색 방법을 기술해 주어야 한다.
주의사항
- 데이터 테이블에 제목 셀과 내용 셀을 th와td요소로 구분한다.
- 복잡한 표 제공시 id, headers또는 scope로 제공한다.
- summary와 caption을 같은 용도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복잡한 표일 경우, 해당 표를 어떻게 탐색하면 편리한지 등을 담아야 한다.
- 행열 등의 정보는 오리혀 준복된 정보를 제공하게 되니 주의해야 한다.
- 데이터 테이블은 자료들 간의 논리적인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경우로, 표의 형식을 제거하고 선형화 했을 때 이해할 수 없다.
- 레이아웃용 테이블은 화면 배치를 위해 작성된 경우로, 표의 형식을 제거하고 선형화했을 때 이해 가능한 경우이다.
- 레이아웃용 테이블에는 th, caption요소, summary속성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레이블 제공
입력서식이나 편집창과 같은 폼의 요소에 대한 목적이나 용도를 의미한다.(=꼬리표, 라벨)
운동장애가 있는 분들이 레이블을 클릭하면 입력 폼으로 바로 진입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며 화면 낭독기의 사용자들에게는 입력창에 접근하는 순간 어떤 용도의 입력창인지를 알수 있도록하여 입력 서식의 이해를 용이하도록 한다.
제공방법
- 레이블 제공 가장좋은 방법 label의 for와 폼 요소의 id를 연결해 주는 방법
- 모든 콘텐츠가 id와 for만으로 연결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 전화번호 입력서식- title속성을 활용한다.
- input, textarea,select요소에 1:1대응하는 label요소 또는 title속성을 제공한다.
- inout의 id와 label의 for가 같아야 한다.
주의사항
- 레이블로 연결할 텍스트가 있는 경우 title속성보다 lavel요소를 제공하는 것을 권장한다.
- 운동장애가 있는 사용자에게 사용성을 높여준다.(하지만 title을 제공하게 되면 폼요소의 선택범위가 제한적이므로 접근성이 떨어진다.)
- id,for속성을 사용하지 않고 label요소로 레이블 텍스트와 서식 컨트롤을 한번에 묶는 암묵적인 방법을 사용한 경우도 인정하지만 권장하지 않는다.
- 암묵적 방법
<label><nput type="checkbox">암묵적</label></li> - 명시적 방법 <label for="see">명시적</label><input type="cgecjbix" id="see">
- 암묵적 방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