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가이드 구성
디자인 가이드 구성
콘셉트와 트랜드
디자인 리서치(Design Research)
디자인을 기획하기 전에 과학적 연구의 방법과 도구를 기반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 는 활동이다. 영국 왕립예술대학의 크리스토퍼 프레이링(Sir Christopher Fryling) 경은 디 자인 리서치를 3가지의 중요 분류로 제안하였다.
- 디자인에 투입되는 리서치 : 전통적이고 역사적이며 심미적인 디자인과 예술에 대한 연구 활동을 말한다.
- 디자인을 통한 리서치 : 프로젝트 중심의 소재와 개발을 포함하는 활동을 말한다.
- 디자인을 위한 리서치 : 앞서 연구된 활동의 가치를 증명하는 활동을 말한다.
비주얼 콘셉트(Visual Concept)
디자인 리서치를 한 후 디자이너가 전달하고자하는 주제인 잘 표현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시각적인 표현 방법 및 접근 방법을 비주얼을 정하여 나타내는 것을 비주얼 콘셉트라고 한다.
- 웹 사이트의 성격에 따라 정보 전달 형, 서비스 제공 형, 커뮤니티 형 등으로 분류한다.
- 웹 사이트의 사용자의 방문을 분류 및 분석하여 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전개한다.
- 단순한 텍스트와 이미지의 결합이 아닌 시각 언어로서 사이트의 성격에 맞게 구현 한다.
웹 과 모바일 환경에서의 트랜드
트랜드란 경향이나 유행을 뜻하는 것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며, 기술의 발달로 미 디어의 트랜드도 변화하고 있다. 반응형 웹디자인은 모바일 환경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한다.
마이크로 인터랙션
미세한 애니메이션을 통한 직관적인 웹 사이트의 체험에 도움을 주며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카드 디자인: 마케팅 및 온드 미디어(Owned Media) 전략
카드 레이아웃이 있는 SNS서비스의 인기로 모바일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웹사이트에서도 활용된다.
플랫 디자인 (Flat Web Design)
그라데이션이나 덱스처 등의 효과를 최소화 한 모던하고 단순한 이미지로 디자인한 것을 말한다.
스마트 내비게이션
효과적인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및 검색 방법에 도움이 되며 복잡한 메뉴의 구조에서 점차 단순하게 변화한다.
고화질의 비주얼
메이저 브랜드와 기업의 웹 사이트에 활용되어 사용자의 기억에 남은 사이트가 되도록 한다.
탈 그리드
웹 디자인에서 모바일이라는 디바이스 화면의 등장으로 형식에서 벗어나 유연한 레이아웃으로 디자인 한 형태이다
반응형 웹 디자인 트랜드
반응형 웹은 기기의 해상도에 따라 레이아웃을 반응하여 웹 페이지를 나타난다. 하나의 소스로 다양한 디바이스의 해상도에 따라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표현할 수 있다. 아래는 모바일에서 사용한 6 column의 2배인 12 column으로 720, 1024, 1366, 1600해 상도를 대응한 화면의 예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