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움나라/정리

인식의 용이성2

by yumino 2019. 11. 24.
반응형

인식의 용이성2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이란?

정보를 구분하는 구별점을 색상으로만 하지 않고, 색을 배제하더라도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색맹, 색약, 저시력등의 시각장애가 있는 사용자나 고령자 같이 색상을 구분하지 못하거나, 시력이 약한 사용자를 위해 색상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공방법

  • 색을 배제하여도 해당 콘텐츠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한다.
  • 색상만으로 내용을 분별하도록 제공된 콘텐츠(그래프,차트,지도 등) - 색의 구분은 보조적으로 제공하고 명확한 수치파악을 위해 보조선 및 범례를 두어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 페이지 네이게이션, 메뉴, 현재 위치등에 대해 명암, 패턴 등의 변화 없이 색상의 변환만으로 현재의 위치를 표시한 경우 - 색상 뿐만아니라 체크 표시를 해주면 해당위치를 인식하기에 용이할 것이다.
  • 필수 입력 항목을 색으로만 표시한 경우 -색상으로 구별한 정보에 체크표시를 해서 필수 입력 항목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이란?

지시사항을 전달하는 콘텐츠의 한정에 적용하는 것으로 무엇을 지시하는지 명확하게 하기 위해 목적이 분명한 지시를 하고, 특정 감각에만 의존하지 않고 다른 감각을 통해서도 지시사항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는 제공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 특정한 감각에 장애가 있는 사용자가 다양한 감각으로 지시할 수 있도록 지시의 내용이나 목적 용도를 명확하게 함으로서 웹 사이트에서 지시된 내용을 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다.
  • 링크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 텍스트로 만든 링크로 링크 텍스트의 내용과 똑같이 대체 텍스트로 제공하여 시각장애인들도 이해 가능하다.

제공방법

  • 지시사항 정보를 특정감각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감각을 통해 용도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한 경우 기준을 준수한것으로 인정한다.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대비란?

웹 페이지에 보이는 텍스트 콘텐츠와 배경 간의 명암의 차이를 말한다.

색맹, 색약, 저시력, 고령자등 시력이 약한 사용자를 위한 지침으로 최소한의 명도차이를 둠으로써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4.5대 1 이상을 권장한다.
  • 본문 콘텐츠에 대해서만 적용한다.

검사적용예외 항목

  • 단순히 장식 목적으로만 사용한 텍스트로고 또는 상호와 같은 텍스트 이미지마우스나 키보드를 활용하여 초점을 받았을 때 색이나 명도 대비가 변화하는 콘텐츠
  • 사용할 수 없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명도 대비를 낮춘 회색의 콘트롤이나 입력서식등

제공방법

  • 기준 : 웹페이지 콘텐츠에 텍스트, 이미지 텍스트 정보에 대해 폰트의 크기가 4.5:1이상(18pt이상), 굵은 14pt이상은 3:1이상의 명도 대비를 제공하는 경우 준수한 것으로 인정한다.
  • 화면 확대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텍스트 콘텐츠(텍스트 및 텍스트 이미지)의 명도 대비는 3:1까지 준수로 인정한다.

주의사항

  • 본문은 콘텐츠영역으로 제공된 텍스트 또는 정보를 제공하는 표, 그래프 및 텍스트 이미지의 텍스트 내용을 의미한다.
  • 명도의 차이를 두어야 하는 대상 : 웹페이지 콘텐츠(전체), 장식적인 문구를 제외한 모든 텍스트에 대해서 명도 대비를 준다.
  • 텍스트 크기가 구분이 되지 않는 경우나 이미지 텍스트의 경우는 글 모양과 상관없이 Windows에서 14pt는 18.66px이고 18pt는 24px로 적용하며, 굵음의 여부와 상관없이 14pt이상은 3:1이상, 미만은 4.5:1이상의 명도대비를 제공하는 경우 준수하는 것으로 인정한다.
  • MacOS는 pt와px가 같은 Windows의 표준 해상도:96dpi, MacOs의 표준 해상도:72dpi, 평가는 Windows의 기준으로 실시한다.
  • 운영체제에 따라서 값이 달라지므로 Windows에서는 18.66px, Mac에서는 14px이 14pt에 해당한다.
  • 웹페이지 콘텐츠의 장식 목적으로만 사용한 텍스트, 로고 또는 상호와 같은 텍스트 이미지, 마우스나 키보드를 활용하여 초점을 받았을 때 색이나 명도 대비가 변화하는 콘텐츠, 사용할 수 없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명도 대비를 낮춘 회색의 컨트롤이나 입력서식등은 이 검사 항목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 장식목적으로 사용한 텍스트나 로고 등에 대한 이미지 텍스트와 비활성화를 나타내기 위해 명도를 낮추어 회색으로 적용하는 컨트롤이나 입력서식은 명도대비 검사 대상에서 제외된다./li>
  • 색상테마 등을 이용하여 전체 웹 사이트의 색상정보를 변경하여 준수한 경우는 인정한다.

자동재생금지란?

페이지에서 배경으로 제공되는 음성정보를 말하는데 배경음으로 인해 시각장애인들은 콘텐츠를 인식하는데 장애를 받는다. 자동으로 재생되는 배경음을 사용하지 않거나 배경음을 3초 미만으로 사용한다.

제공방법

  • 배경음으로 인해 화면낭독기의 음성이 방해받지 않게 하여 웹 콘텐츠를 인식이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 불가피한 경우 배경음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 (멈춤, 일시정지등)을 웹 페이지의 첫부분에 제공한다.
반응형

댓글